1단계(이수과목 심사)
필수과목 | 선택과목Ⅰ (다음 과목 중 3과목 이상) |
선택과목Ⅱ (다음 과목 중 2과목 이상) |
---|---|---|
놀이치료 | 인지치료 | 건강심리학 |
발달이론 | 행동치료 | 신경심리학 |
성격이론 | 정신분석 | 생리심리학 |
상담이론 | 분석심리학 | 임상심리학 |
심리평가 | 미술치료 | 아동정신의학 |
음악치료 | 학습심리학 | |
단기치료 | 인지발달 | |
가족치료 | 교육심리학 | |
부모-자녀 놀이치료 | 부모자녀관계 | |
부모교육 | ||
정신건강 | ||
청년심리학 | ||
치료놀이 |
① 이수과목 및 유사과목 심사는 교육전문위원회(edu@playtherapykorea.or.kr)에서 심사
② 문의사항은 edu@playtherapykorea.or.kr 으로 문의
2단계(자격시험 응시)
① 응시자격 |
|
② 시험과목 |
|
③ 검정방법 |
|
④ 합격기준 |
|
3단계(수련과정심사)
① 놀이심리상담 지도감독 | 최소 1년 이상, 5사례 이상, 총 50회기 이상 |
② 놀이심리상담 시간 | 300회기 이상 |
③ 심리검사 실시 | 5사례 이상 |
④ 사례연구회 참석 | 10회 이상 |
⑤ 공개 사례 발표 | 1회 이상 |
- ① 놀이심리상담 지도감독
- 최소 1년 이상, 5사례 이상, 총 50회기 이상
- 1회기 당 지도감독 시간은 50분 이상
- 놀이심리상담 (교육)전문가로부터 받은 경우에만 인정
- 놀이심리상담 전문가로부터 받은 집단 지도감독은 최대 15회기 인정(본인 발표 사례에 한함)
- 놀이심리상담 교육전문가로부터 받은 지도감독은 최대 25회 인정(집단 최대 10회)
- ② 놀이심리상담 시간 - 300회기 이상(1회기, 50분)
- ③ 지능검사, 성격 및 투사검사를 포함하여 5사례 이상의 검사를 실시해야 함
-
1급 (공통필수 외 3가지 검사) 1급, 전문가 공통필수 부모 MMPI, SCT 지능검사 (택1) K-WPPSI, K-WISC, K-WAIS(청소년 해당), K-ABC 성격 및 투사검사 (택1) HTP, KFD, SCT, MMPI-A, 로샤, CAT 선택검사 (택1) BGT, VMI, 사회성숙도검사, KPRC, CBCL, PAT - 심리검사 대상은 아동, 청소년으로 국한함(단, 청소년의 경우 K-WAIS를 실시할 수 있음)
- 지도감독자는 보건복지부 정신보건임상심리전문가 및 한국임상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로 함
- 임상심리전문가 지도감독 확인서 제출(서식은 학회 홈페이지 ‘온라인수련수첩 > 심리검사’ 참조)
- ④ 본 학회에서 주최하는 놀이심리상담 사례연구회 참석 - 10회 이상
- ⑤ 본 학회에서 주최하는 공개 사례 발표 - 1회 이상
(단, 사례발표는 본 학회에서 사전 공지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 경우에만 인정함) - ⑥ 자격연수 과목 수강(놀이심리상담 실제, 부모상담 실제)
4단계(구술면접)
- ① 검정 방법 :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해 수련과정을 평가하는 구술면접
- ② 합격 기준 : 구술 및 면접은 60점 이상 합격
- 매해 4월경 실시
5단계(윤리교육)
매해 4월경 실시
6단계 (자격수여)
매해 5월경 수여